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83)
24년 9월 24년 9월 손익 정산: + 3,448,786  - 월 결산이 늦은 것만 봐도 긴장감이 많이 떨어졌었다.- 중국 상승에 올라타지 않은 것이 너무 배아프다. 미련은 두지말자..- 매크로의 시기가 찾아왔다.- 9월은 하락이 꽤 나올거라고 생각했었는데 초기에만 빠지고 결과적으로 제자리를 회복해주었다.- 매매를 최대한 줄이고, 현금 보유 비중을 30%로 유지하자는 목표는 절반은 성공했다.- 매매는 많이 줄였고, 손실은 작게 하나만 발생했다. 그리고 현금 보유 비중은 정확히 30%다.- 하지만, 잔고 현황을 보면 크게 긍정적이진 않다. - 10월은 좋은 흐름으로 예상하고 있어서, 잔고 현황이 사실 크게 걱정은 되진 않는다.- 다만, 중동 전쟁 이슈가 생각보다 뜨거워서 걱정이긴 하다.  유가 상승 여부를 확인하자...
240920 ~ 27 _ 그냥 매매기록 + 1,063,600 1. 두산에너빌리티 - 잘 팔았고, 운 좋게 수익실현 이후까지 예상했던 흐름이 나오고 있다. - 18,000원 구간에 버텨주는 그림을 확인했고, - 1차 매수 진행했다. - 16,000원은 아니더라도 17,000원 구간에서 더 비중을 싣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운 마음이 자꾸 드는데, 굉장히 높은 확률로 이런 흐름이 나올 것을 알고 있는데도 매수를 진행하지 못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의사결정일지 모르겠다. - 확실한 건 한 종목에 비중을 늘리는 것은 리스키하다는 것인데, - 단순히 손실을 최대한 막기 위해 수익을 지속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무작정 옳은가? 라는 생각이다. - 그래서 '수익을 더 높이기 위해 짤짤이 수익에서 수익실현하지 말고 더 들고가보자'라는 생각으로 현재 수익권 종목들을 ..
240913, 19 _ 출발..? + 928,882   1. 두산에너빌리티- 오늘의 상승을 보면 9/13에 정리한게 아쉽긴하지만, FOMC에 대한 불안감을 추석연휴 내내 가져가는 것보다는 확실한 수익을 취한 것이 좋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13일 시간외에서 300만원 재진입했기 때문에 FOMO는 없다.- 실수 매수 건에 대한 손실이 없어서 감사하다.- 근데 9/12 장종료 직전 상승세는 관찰해볼만한 것 같다.- 금감원의 철퇴를 맞고, 주가 부양을 해야할 수 밖에 없는 두산에너빌리티 측에서 14시 23분에 꼬롬하게 저런 뉴스를 내면서 물량을 가져간 것으로 보인다.- 가능한 낮은 단가에서 물량을 확보해야 하므로, 추가 상승랠리를 쭉 가져가는것은 사측입장에는 불리한 방법이니까, 확 올리지는 못할 것 같다.- 다만, 갈 듯 말듯 하는 움직임..
240911 ~ 12 _ 국장 권태기 + 788,655 매국배팅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아니 달러를 벌어온다면 오히려 애국인가? 국내 종목을 공부하는 노력과 짊어지는 리스크 대비미장은 종목 공부를 따로 하지도 않으며, 증시 흐름만 보고 ETF or 큰종목에만 국장 대비 10배 정도 낮은 금액을 투자함에도 불구하고 기간 대비 수익률과 마음고생은 비교가 안된다. 미장 투자금액을 늘리고,다시 장이 올라가는 분위기인데, 다음 하락 파동이 나올때까지 미장 개별종목 공부를 좀 해봐야겠다.  1. 한화시스템- 더 끌고 가고 싶은 마음이 컸지만- 현재 잔고 상황으로 인해 줄 때 먹고 나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호재 뉴스로 상승하는데 그 힘이 어느정도인지 가늠이 안되어서 분할매도없이 그냥 탈출했다.- 아래의 흐름이 나온다면 재 진입 고려 (떨어져줘라!)..
240910 _ 가뭄에 단비 + 305,470 가뭄에 단비같은 수익이 났지만, 너무 감칠맛나는 조막 수익이다. 그래서 미장 단타 수익을 슬쩍 합산한다. 1. 한국비엔씨 - 사실 차트 자리는 더 가져가기에 너무 좋다. - 비중도 200만원으로 부담 없어서 하락해도 추가 매수 가능했기 때문에 고민을 했지만, - 오늘 대선 토론 리스크로 내일 급락 가능성도 있고, 지금 상황에서의 추가 리스크는 두배로 아프기 때문에 팔았다. 2. 카페24 - 비중이 600만원으로 추가 매수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 - 평소같은 상황이면 더 끌고 갔겠지만, 현금 보유 비중도 여유있지 않은 상황이라 현금 보유에 좀 더 힘을 주기 위해 매도했다. - 그리고 25000원 아래가 최상의 가격대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추가 하락을 기다리는 것으로 결정했다. 반면, 한화시..
240901 ~ 09 _ 아직 한 발 남았다 + 57,286 8월 말일 기준 현금 보유비중 : 65% 현재 현금 보유 비중 : 30% 9월 하락동안 좀 주워담았다. 3차 분할매수를 진행하려고 했는데, 종목이 많아지다보니 특정 종목에 금액을 더 투입하기가 쉽지 않다. 이번 파동이 지나가면 종목을 줄이고 각 종목 당 비중을 높일지, 종목 수는 유지하고 각 종목 당 비중을 줄일지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 지난 하락과는 달리 아직 추가 하락이 나와도 더 살 수 있는 현금이 있고, 이미 사놓은 종목들의 평단도 내려가는 도중에 분할매수한 것이어서 하락에 맞서는 마음가짐이 다른 것 같다. 이번 흐름에서 수익을 낼 수 있을지 아직 알 수 없지만, 지난 번 보다는 영점이 어느정도 맞아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아직 한참 멀었다ㅠ 8/5 조정 후, 기술적 반등이 ..
9월 1주차 벌써 9월이다.. 매년 9월이 올 때마다 1년의 마무리가 시작되는 느낌과 시간이 빠르다는 것을 느낀다. 그건 그렇고 주말 삭제속도 뭔데ㅡㅡ 8월은 조정과 반등이 나왔다. 8월이 시작할 때, 경기침체는 없을 것이라 예상했는데, 갑자기 나온 급락에 겁을 먹고 추가 매수는 커녕, 침체없이 지수가 반등을 주는데도 혼자 계속 떨어지는 종목은 손절하고, 아직 탈출도 못한 종목도 있다. 덕분에 비중조절과 내 예측의 무의미함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볼 수 있었다. 9월은 변동성이 클 확률이 높아보인다. (바로 또 예측하노??) 괴거 대선 해의 9월은 증시가 가장 힘이 약한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이번 9월은 금리 인하가 예정되어 있는데 금리인하 폭, 명분에 따라 또 그 결과가 달라질 것이라서 가늠이 어렵다. 경제 지표들도..
주식시장 생존 규칙 DIY _ v.2 1. 카테고리화하여 매매유형, 섹터 별로 보유 및 관심 종목 정리할 것    ▶ 특정 매매 유형과 섹터에 몰리지 말 것 2.매수는 최대 3차까지만 진행    ▶ 만약 3차 이상의 추가 매수가 필요한 거라면, 손절 또는 장기로 가져가기 말곤 없다 3. 매수 규칙    ▶ 한 종목당 최대 매수 금액 : 3000만원    ▶ 1차 매수 : 333만원    ▶ 2차 매수 : 666만원    ▶ 3차 매수 : 2000만원         * 각 차수별 매수는 한번에 수행해야 하는 것이 아님.         * 급하게 매수하지 않는다. 3-1. 2차 매수 수행 기준    ▶ 1차 매수 종목의 하락 발생 시, 추가 매수 이전에 손절 여부를 먼저 판단할 것    ▶ 추가 매수로 판단했을 시, 음봉에 추가 매수 할 것  ..